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851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4) - 식물성 단백질2 바. 야자박(Coconut meal), 팜 박(palm kernel meal) 1)야자박 - 코코야자열매의 과육을 건조한 코프라(Copra)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코프라밀 혹은, 코코피트라고도 하며 엷은 황갈색과 독특한 좋은 향기가 있다. - 흑갈색을 띄고 있거나 악취가 나는 것은 오래되고 변질된 것으로 좋지 않다. - 수분 5%, 단백질이 20%, 조섬유가 12%로서 단백질함량은 박류 중에서 낮은 편이나, 반추가축에게 매우 좋은 사료로서 사료 중 40%까지 사용가능하며, 25%정도사용 시, 옥수수보다 사료적가치가 높다. - 체지방 및 유지방의 경화를 유발하므로 사용에 유의하여야 한다. 2) 팜 박 - 팜 씨앗의 가공공정을 거쳐 기름성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이다. - 지방함량은 용매추출이..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3) - 식물성 단백질1 3. 식물성 단백질사료 단백질사료(식물성)의 일반적 특징 - 동물성 단백질에 비하여 전반적 영양수준이 낮다. - 조섬유 함량 이 높으며 lysine과 methionine, Ca 및 P 함량이 낮다 - K, Mg, Thiamin, folacin 및 biotin 함량이 높으며 Vit. B가 부족함 가. 대두박(Soybean meal) - 대두유를 착유하고 나서 남은 부산물서 기호성이 뛰어나며 식물성 단백질원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조단백질 함량에 따라 44%, 48%로 분류된다. - 조단백질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며 특히 어린송아지에게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나, 면실박(Cotton seed meal) - 목화를 수확하고 남은 씨앗(전지면실)에서 기름을 추출한 것으로 조지방(3.1%)과 조섬유(1.. 2020. 5. 14.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2) - 강피류 2. 강피류 사료 강피류 사료의 일반적 특징 - 밀기울, 쌀겨, 보릿겨 등의 곡류 도정, 제분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 조단백질, 조섬유, Vit B군, P의 함량이 우수하며 전분함량은 낮음 - 부피가 크므로 가축의 변비방지 및 영양소 희석제로 사용 - 값은 저렴하나, 다량 급여 시 연변발생 등으로 적당한 양의 급여가 중요 가. 소맥피(밀기울, Wheat bran) - 소맥피는 소맥의 도정 부산물로서 밀껍데기, 배아, 밀가루 등이 섞여있다. - 기호성이 우수하며 인과 섬유질 함량이 높다. 부피가 크고 완화효과 때문에 소와 말사료로 많이 이용되며, 배합사료 품목에 따라 20~30% 까지도 배합가능하다. - 소맥피는 가소화 조단백질(DCP 10%)과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62%)이 가축 간에 큰 차이가.. 2020. 5. 14.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1) - 곡류사료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 1. 곡류 사료 곡류사료의 일반적 특징- 전분(에너지)의 함량이 높으며 단백질 함량은 비교적 낮다(8~12%)- 아미노산 조성이 좋지 못하며 조섬유 함량이 낮다(쌀 : 0.5%, 귀리 : 11%)- Ca와 P의 함량이 낮음(P는 유기태 인 형태로 존재)- Carotene과 Vitamin 함량이 낮으나 소화율이 높으며, 기호성이 좋다.- Vitamin B1은 풍부, B2, B3의 함량은 낮으며 Vitamin E의 함량이 비교적 높다. 가. 옥수수(Corn, Maize) 가장 널리 쓰이는 농후사료의 에너지원으로서 배합사료의 30~50% 사용되며 곡류원료 중 수요가 가장 많은 원료로서 대부분 수입함 - NFE(가용무질소물)함량이 높으며, 지방함량도 상대적으로 우수함(배아)- ..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3) - TMR시스템의 경제성과 주의사항 6. 배합사료 급여와 TMR 급여 방식의 경제성 분석 가. 경제성 있는 TMR 사양관리의 중요성 현재 TMR에 대한 한우농가의 잘못된 인식 중의 한 가지는 바로 TMR 사양관리를 실시하게 되면 사료비가 절감된다는 생각이다. 물론 자급 조사료와 각종 부산물 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할 경우 사료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지만, 편리함만을 추구하여 TMR에 과도하게 의존하거나 부적절한 배합비 운용 하게되면 관행사육방식에 비해 TMR 사양관리시 사료비용이 더 많이 소요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10년도 농촌진흥청의 영농활용 자료(거세한우 28개월령 출하 시 섬유질발효사료가육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관행사육에 비해 TMR 사육 시 사료섭취량의 증가로 인해 사료비가 마리당 847,989원 더 소요되지만, T..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2) - TMR 시스템 5. TMR 시스템 도입을 위한 구비사항 TMR 시스템 도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농가의 TMR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고, 또한 TMR 도입을 위해서는 농가에서 구비되어있는 전체적인 여건(환경 및 사료조 등)이 TMR 시스템과 부합되는가? 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알고 있는 TMR은 사료로서 이해를 하고 있지만 실상 TMR은 사료로 이해하기 보다는 사양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TMR의 출발을 사료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양관리로서 이해를 하라는 것이다. 종종 농가에서 TMR을 잘못 이해하다보니 소들의 영양적 불균형 문제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가. TMR시스템 도입을 위한 원칙적 배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TMR을 사양관리로 이해하려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2020. 5. 14.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