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우 TMR34

반추 가축과 조사료, 조사료의 종류, 헤이와 스트로 조사료는 초식가축의 주 영양소 공급원이며, 특히 육성기 반추위의 발달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양질 조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사료를 적게 급여하고 농후사료를 과다하게 급여하면, 소화 및 대사장애 등각종 질병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반추위의 기능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반드시 일정량 이상의 조사료를 급여하여야 대사장애를 예방하고 번식효율을개선할 수 있습니다. 조사료: 헤이(Hay)와 스트로(Straw) 수입 조사료의 경우 헤이와 스트로 두 종류로 베일의 형태로 수입됩니다. 헤이(Hay)는 낱곡이 달린 상태로 수확된 조사료를 의미합니다. 스트로(Straw)는 곡식을 모두 수확한 상태에서 건조시킨 조사료를 의미합니다. 수확이 끝난 후 볕짚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베일은 건초를 압착 시켜서 하나의 더미를.. 한우 TMR 2021. 9. 24.
해외 매체에 소개된 한우관련 기사들 비교적 최근에 영미권 매체에 실린 한우 관련 기사들입니다. 일본의 와규와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미국산 일본산 소보다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합니다. 10best.com에 실린 2021년 3월 기사 Why Korean Hanwoo beef might be the best meat on earth Korean Hanwoo is beef might be the best beef in the world. Unfortunately, you’ll probably need to fly to Asia to taste it. www.10best.com afoodieworld.com에 실린 2019년 기사 Hanwoo Beef What is Hanwoo Beef? Why does it cos.. 한우 TMR 2021. 4. 10.
TMR제조(6) - 식품가공 부산물 활용시 고려사항 6. 식품 가공 부산물 활용시 고려 사항 가. 가축 사료 활용 장점 농산 부산물과 조사료는 인간과 경합이없는 영양원으로 오랫동안 반추 동물의 사료로 사 용되어왔다. 이와 같은 부산물의 사용은 적어도 2 가지 장점이있다. 첫째. 사료 섬 취량과 생산에 영향을주지 않으면 서 부산물과 곡류의 가격에 따라 적절한 배합으로 사료비를 출일 수있다. 둘째, 부산물을 폐기 (소각, 매림 등)하는 것보다 가축에 이용 함으로서 생태 학적으로 좋은 처리 방법이된다는 것이다. 표 1, 주요 식품 부산물 및 농산 부산물 최대 공급량 (%) 송아지 젖소 특징 신선 할 때 높은 기호성 어린 가축 소화율 강소 (pectn pertosan) 사과 박 0 02 맥주박 OP 기호성이 매우 놈으나 변질 가능성 높음 OE 감귤 박 변질 위험.. 한우 TMR 2020. 6. 25.
TMR제조(5) - 혼합순서 5. TMR 가. 혼합의 중요성 TMR이 성공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고른 혼합이 되게 하는 것이다. 잘 혼합이 되어 있지 않으면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분리현상이 일어나고 영양성분의 불균형과 더불어 소들이 편식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TMR이 제대로 혼합되어 있으면 소가 사료의 어느 부분을 먹더라도 동일한 영양소를 섭취하게 된다. 반추위내 산도(pH)의 변화폭이 적은 안정된 상태 하에서 미생물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다. 과거와 같이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분리 급여하는 경우, 반추위내의 안정을 유지하기 어렵다. 혼합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사료전체의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기호성은 좋지 않아도 가격이 싸거나, 영양가가 높은 사료도 다른 사료와 혼합하여 섭취를 유도 할 수 있다. 현재.. 한우 TMR 2020. 5. 21.
TMR제조(4) - TMR 믹서 TMR 믹서 가. TMR용 믹서 TM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료를 혼합하는 기계 즉, TMR 믹서에 대한 관심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TMR을 올바르게 제조 급여하기 위해서는 균형된 영양의 사료배합은 물론이고 단미사료의 성분 및 특성 파악, 원료 및 제품의 품질관리, 사료배합 프로그램, 성장단계별 사양관리, 급여시설 등 종합적으로 연구 김도해야할 사항이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TMR에 있어서 얼마만큼 균일한 배합도를 가진 TMR이 제조되는가에 믹서가 직접 관련되므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중점고려 사항 ① 사료 배합시 조사료를 반드시 믹서에 함께 투입하여 배합할 수 있어야 하며, 첨가제 등의 미량원료도 골고루 배합되어야 한다. 믹서의 배합효율이 떨어질 때는 소량의 첨가제, 비타민제 등.. 한우 TMR 2020. 5. 19.
TMR제조(3) - 급여형태에 따른 분류 3. 급여 및 이용형태에 따른 TMR의 이해 가. 급여형태에 따른 분류 1) 부분 TMR ● 부분 TMR(semi TMR, partial TMR)이란 목장의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이용하는 형태로서 볏짚 등 조사료만을 제외한 모든 원료사료를 혼합한 형태의 사료 ● 부분 TMR을 이용하는 농가는 추가로 조사료를 급여해야 함 2) 완전 TMR ● 우군의 능력에 따라 영양소요구량을 계산하여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포함하여 모든 원료사료를 투입 혼합하여 제조하므로 탑드레싱(Top Dressing)을 제외하면 추가로 급여하지 않아도 되는 사료 나, 제조에 따른 분류 1) 자가 TMR 제조 ● 농가에서 직접 사료를 자가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우군의 상태에 맞는 영양소 농도 및 적절한 원료사료의 혼합.. 한우 TMR 2020. 5. 19.
TMR제조(2) 제조순서 가. TMR 입자도 관리를 위한 제조순서 1) 최초로 건조한 곡류나 첨가물 등 입자나 가루상태의 재료를 사전에 설계된 배합비율대로 균등하게 혼합한다. 2) 섞은 것을 확인했으면 다음으로 건조한 조사료를 섞는다 3) 수분을 포함한 재료(비지박, 맥주박, 물)를 투입하여 전체적으로 배합한다. 즉 곡류 · 건초류가 사전에 섞여지지 않은 채로 수분을 함유한 것과 배합되면 균등하게는 섞이지 않는다. 4) 이상의 사항을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혼합하도록 한다. 시간이 걸리면 장섬유가부서지고 입자가 작아지는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이것도 사용하는 조사료의 질이 고려될 사항으로 현장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달리한다. 나. TMR의 균등한 혼합 아무리 잘 섞은 TMR이라도 소는 반드시 골라내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 한우 TMR 2020. 5. 19.
TMR제조(1) 전제조건 1. 성공적인 TMR제조를 위한 전제조건 가. 영양소 과부족문제 반추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매우 많다. 특히 TMR 급여 시에 비타민과 무기물의 부족에 유의해야 한다. 1일 영양소 요구량은 체중, 그리고 농장의 환경 등 많은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건초나 사일리지 또는 볏짚 등을 단순히 단백피, 소맥피, 알팔파, 비트펄프 등으로 대체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이러한 것은 영양, 생리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TMR 배합비는 농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른 농장 배합비를 그대로 적용하려고 하는 것은 위험한 생각이다. 잘못하면 소의 경제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농장의 분석을 통해서 가장 적합한 상태의 사료를 만들기 위해 배합비는 반드시.. 한우 TMR 2020. 5. 18.
성장기별 TMR 활용방법(5) - TMR 배합비 작성 방법 4. 한우 TMR 배합비 작성 방법 가. 사료배합비 작성 포인트 1) 어떻게 소를 사육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 사료배합비를 작성할 때 먼저 결정해야 할 점은 거세우의 경우 출하월령과 사료급여 형태(자유채식으로 하루 종일 먹을 수 있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사료 급여 후 2시간 내에 먹을 양을 줄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29개월령 출하와 사료 급여 후 2시간 안에 사료를 십취하는 양을 주는 것으로 맞추어 조사료의 비율, 영양소 함량 등을 제시하기 때문에 본인이 출하월령을 30개월 이후로 길게 잡을 경우에는 육성기에 조사료의 섭취량을 높여주고 에너지 함량을 낮추어 비육 개시를 늦춰주어야 한다. 또한 하루 종일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려면 육성기에는 조사료의 비율을.. 한우 TMR 2020. 5. 18.
성장기별 TMR 활용방법(3) - 성장단계별 목표설정1 3. TMR 급여를 위한 성장단계별 목표설정 및 영양소 급여기준 가, 거세우 사양관리 1) 육성기 사양관리(6~11개월령) 육성기 사양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 1위 발육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제 1위 발달은 생후 3개월령부터 시작하여 8개월령을 정점으로 12개월령까지 계속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반추위 발달을 제대로 시키지 못하면 비육후기의 사료섭취량이 저하하여 근내지방 축적에 실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기간은 영양가가 높고 기호성이 좋은 양질의 조사료 배합량을 늘려주어 조사료를 최대한 많이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육성기 TMR의 조단백질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14.5% 이상, 에너지가인 TDN은 68~71%정도의 것을 체중의 2.5%(건물기준) 정도 급여하는 것이 좋으며 이 시.. 한우 TMR 2020. 5. 18.
성장기별 TMR 활용방법(2) - 고려사항 2. 한우 성장단계별 TMR 적용을 위한 기본 고려사항 가. 한우의 조직성장과 발육 동물의 성장이란 골격, 신장, 체중, 근육 그리고 소화장기 등이 크기나 수가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발육은 뇌가 성장함에 따라 운동기능, 정신 기능이 발달해 나가는 단계로서 성장에 따르는 기능적인 발선과정을 뜻한다. 한우의 성장은 몸체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부위가 일시에 성장하지 않고 일정한 유형에 의해 성장단계를 거친다. 신체의 발달은 머리 → 목 → 등 → 허리로 향하는 강한 발육과 발목 → 허리로 향하는 중간 발육 엉덩이 → 허리로 향하는 약한 발육이 진행되면서 최종적으로 허리가 몸의 중심에 있으면서 가장 늦게 성장한다. 또한 조직의 발달은 가장 먼저 니가 발달하고 그다음에 뼈 그리고 근육, 마지막.. 한우 TMR 2020. 5. 18.
성장기별 TMR 활용방법(1) - 섬유질 배합사료 1. 한우 섬유질배합사료 배합 원리 및 이용시 주의사항 가. 자가 섬유질배합사료 체계로 전환시 고려사항 농가에서 농산부산물 등 주변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사료원료를 이용하여 조사료와 함께 자가로 섬유질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이하 TMR로 표기)를 제조하여 한우에 급여하는 것이 반추위의 안정된 발효로 인한 생산성을 높이고, 한편으로는 사료비를 절감 할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아직 많은 농가에서는 농산부산물의 영양소 함량이나 한우의 성장기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 요구량에 대한 고려없이 부산물 사료를 섞어 먹임으로서 사료비 절감의 효과보다는 발육 부진이나 질병 발생으로 인하여 오히려 피해를 보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TMR 제조를 위해서는.. 한우 TMR 2020. 5. 18.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9) - 보조사료 9. 보조사료 가. 보조사료의 특징 - 보조사료는 보충사료 혹은, 과학사료와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동물의 생명유지나 축산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사료이다. - 보조사료는 사료의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한 품질보호제, 비타민을 비롯한 미량영양소 보충제, 그리고 동물의 효용성 증대 및 사료품질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제로 나눌 수 있다. 나, 보조사료의 종류 1) 미생물제제(생균제) - 미생물제제에는 유산균제제(Probiotics), 효모배양물(Synbiotics) 및 곰팡이 발효물(Prebiotics)도 포함되는데, 생균제는 살아있는 천연의 미생물 공급원(DirectFed Microbials, DFM)'으로서 균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물을 의미한다. 생균제는 다음과 같은 작.. 한우 TMR 2020. 5. 17.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8) - 광물질 사료 8. 광물질(무기물) 사료 가, 광물질사료의 일반적 특징 - 광물질은 골격의 주성분으로서 동물체 조성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종대사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광물질은 일반 사료나 음용수에 포함되어 있으나 동물의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공급이 필요하다.- 광물질은 서로간의 상호 교호작용, 공급원, 가공 처리방법, 급여량 및 가축의 종류등에 따라 분해, 흡수 및 이용성이 다르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료에 첨가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사료공정법에 의하면 식염류, 인산염류 및 칼슘염류와 같은 다량 광물질류와 구리 코발트와 같은 미량 광물질류로 분류하고 있다. 육우의 사료 중 광물질 사용 한계치는 칼슘 2%, 인 1%, 마그네슘 0.5%, 칼륨 3%, 나트륨 3.5(비유 1.6%), .. 한우 TMR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7) - 조사료 7. 조사료 가. 조사료의 일반적 특징 - 조사료는 크게 두과와 화본과로 구분한다. 두과는 화본과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섬유소 함량이 낮다.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는 두과 작물로는 알팔파가 있으며 화본과 작물에는 오차드그라스, 톨페스큐 등이 있다. - 두과작물의 특징으로는 풍부한 조단백질 원이며 생초는 비타민 A가 많고 건초는 비타민 D의 함유량이 높다. - 화본과와 혼파하면 조단백질의 함량을 늘릴 수 있으며, 토지의 비옥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 화본과 작물은 어릴 때에는 조단백질 함량이 높으나 개화기 전후부터 급격히 조섬유비율이 높아지고 조단백질 함량은 떨어진다. - 두과작물에 비하여 단위면적당 수량이 많고 TDN 함량도 상당히 높다. 나, 조사료 종류별 특징 1) 볏짚(Rice s.. 한우 TMR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6) - 유지사료와 설탕제조 부산물 5. 유지사료 - 가죽의 유전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고효율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동물성유지로서 우지( Tallow), 돈지(Lard), 양지(Mution)등이 있고, 식물성유지로는 옥수수기름, 대두유, 채종유, 면실유 등이 있으나, 식물성유지는가격이 비싸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융점이 40도 이상인 것을 텔로우, 그 이하인것을 그리스라고 한다. - 유지시료를 가축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의 기능은 사료의 에너지 함량을 높이고, 먼지발생을 줄이며, 사료분쇄기와 배합기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펠릿닝이 용이하며, 기호성이 증진되고, 사료첨가제의 작은 입자를 균일하게 배합하고 안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료효율 개선, 필수 지방산 공급, 지용성 비타민(A, D, E.. 한우 TMR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5) - 근괴사료 4. 근괴사료 뿌리부분을 사료로 이용하는 것으로 고구마, 감자, 타피오카, 순무, 사탕무 등이 있으며 전분질함량이 곡류와 비슷하고, 에너지가는 곡류의 중간정도로서 단백질의 함량과 질이 곡류보다 낮다. 가. 고구마 - 근채류로서는 건물 함량이 약 32%로서 높고, 가소화성분과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및 카로틴(Carotene) 함량은 높지만, 단백질, Ca 및 P의 함량은 낮다.- 고구마는 모든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는데 돼지에게는 옥수수의 70~80%까지 대체 할 경우, 경지방을 생산하여 육질개선에 효과가 있고, 반추가축에게는 옥수수의190~100%의 가치가 있다. 나. 타피오카(Tapioca) - 열대성 근괴작물로서 일명 카사바(Casava) 라고도 하며, 근괴가 사료로서 이용된다. 생것은 수분이 .. 한우 TMR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4) - 식물성 단백질2 바. 야자박(Coconut meal), 팜 박(palm kernel meal) 1)야자박 - 코코야자열매의 과육을 건조한 코프라(Copra)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코프라밀 혹은, 코코피트라고도 하며 엷은 황갈색과 독특한 좋은 향기가 있다. - 흑갈색을 띄고 있거나 악취가 나는 것은 오래되고 변질된 것으로 좋지 않다. - 수분 5%, 단백질이 20%, 조섬유가 12%로서 단백질함량은 박류 중에서 낮은 편이나, 반추가축에게 매우 좋은 사료로서 사료 중 40%까지 사용가능하며, 25%정도사용 시, 옥수수보다 사료적가치가 높다. - 체지방 및 유지방의 경화를 유발하므로 사용에 유의하여야 한다. 2) 팜 박 - 팜 씨앗의 가공공정을 거쳐 기름성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이다. - 지방함량은 용매추출이.. 한우 TMR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3) - 식물성 단백질1 3. 식물성 단백질사료 단백질사료(식물성)의 일반적 특징 - 동물성 단백질에 비하여 전반적 영양수준이 낮다. - 조섬유 함량 이 높으며 lysine과 methionine, Ca 및 P 함량이 낮다 - K, Mg, Thiamin, folacin 및 biotin 함량이 높으며 Vit. B가 부족함 가. 대두박(Soybean meal) - 대두유를 착유하고 나서 남은 부산물서 기호성이 뛰어나며 식물성 단백질원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조단백질 함량에 따라 44%, 48%로 분류된다. - 조단백질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며 특히 어린송아지에게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나, 면실박(Cotton seed meal) - 목화를 수확하고 남은 씨앗(전지면실)에서 기름을 추출한 것으로 조지방(3.1%)과 조섬유(1.. 한우 TMR 2020. 5. 14.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2) - 강피류 2. 강피류 사료 강피류 사료의 일반적 특징 - 밀기울, 쌀겨, 보릿겨 등의 곡류 도정, 제분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 조단백질, 조섬유, Vit B군, P의 함량이 우수하며 전분함량은 낮음 - 부피가 크므로 가축의 변비방지 및 영양소 희석제로 사용 - 값은 저렴하나, 다량 급여 시 연변발생 등으로 적당한 양의 급여가 중요 가. 소맥피(밀기울, Wheat bran) - 소맥피는 소맥의 도정 부산물로서 밀껍데기, 배아, 밀가루 등이 섞여있다. - 기호성이 우수하며 인과 섬유질 함량이 높다. 부피가 크고 완화효과 때문에 소와 말사료로 많이 이용되며, 배합사료 품목에 따라 20~30% 까지도 배합가능하다. - 소맥피는 가소화 조단백질(DCP 10%)과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62%)이 가축 간에 큰 차이가.. 한우 TMR 2020. 5. 14.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1) - 곡류사료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 1. 곡류 사료 곡류사료의 일반적 특징- 전분(에너지)의 함량이 높으며 단백질 함량은 비교적 낮다(8~12%)- 아미노산 조성이 좋지 못하며 조섬유 함량이 낮다(쌀 : 0.5%, 귀리 : 11%)- Ca와 P의 함량이 낮음(P는 유기태 인 형태로 존재)- Carotene과 Vitamin 함량이 낮으나 소화율이 높으며, 기호성이 좋다.- Vitamin B1은 풍부, B2, B3의 함량은 낮으며 Vitamin E의 함량이 비교적 높다. 가. 옥수수(Corn, Maize) 가장 널리 쓰이는 농후사료의 에너지원으로서 배합사료의 30~50% 사용되며 곡류원료 중 수요가 가장 많은 원료로서 대부분 수입함 - NFE(가용무질소물)함량이 높으며, 지방함량도 상대적으로 우수함(배아)- .. 한우 TMR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3) - TMR시스템의 경제성과 주의사항 6. 배합사료 급여와 TMR 급여 방식의 경제성 분석 가. 경제성 있는 TMR 사양관리의 중요성 현재 TMR에 대한 한우농가의 잘못된 인식 중의 한 가지는 바로 TMR 사양관리를 실시하게 되면 사료비가 절감된다는 생각이다. 물론 자급 조사료와 각종 부산물 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할 경우 사료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지만, 편리함만을 추구하여 TMR에 과도하게 의존하거나 부적절한 배합비 운용 하게되면 관행사육방식에 비해 TMR 사양관리시 사료비용이 더 많이 소요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10년도 농촌진흥청의 영농활용 자료(거세한우 28개월령 출하 시 섬유질발효사료가육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관행사육에 비해 TMR 사육 시 사료섭취량의 증가로 인해 사료비가 마리당 847,989원 더 소요되지만, T.. 한우 TMR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2) - TMR 시스템 5. TMR 시스템 도입을 위한 구비사항 TMR 시스템 도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농가의 TMR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고, 또한 TMR 도입을 위해서는 농가에서 구비되어있는 전체적인 여건(환경 및 사료조 등)이 TMR 시스템과 부합되는가? 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알고 있는 TMR은 사료로서 이해를 하고 있지만 실상 TMR은 사료로 이해하기 보다는 사양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TMR의 출발을 사료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양관리로서 이해를 하라는 것이다. 종종 농가에서 TMR을 잘못 이해하다보니 소들의 영양적 불균형 문제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가. TMR시스템 도입을 위한 원칙적 배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TMR을 사양관리로 이해하려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한우 TMR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1) - 체내 영양소 대사 마. 반추가축의 체내 영양소 대사 1) 휘발성지방산의 체내 이용 반추위에서 생성된 휘발성지방산의 대부분은 반추위와 제 3위에서 흡수된다. 휘발성지방산의 75% 정도가 제 1위벽을 통하여 흡수되고 20%는 제 3위에서, 나머지 5%는 제 4위와 소장에서 흡수된다. 제 1위벽을 통한 흡수과정은 pH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반추위 pH가 낮은 상태일 때 휘발성지방산은 빨리 흡수하게 되고, 흡수되는 속도는 낙산이 가장 빠르며, 그 다음으로 프로피온산 및 초산의 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상시 젖산은 박테리아에 의하여 초산, 프로피온산 및 낙산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지나친 농후사료 급여로 제1위 내 총 산의 경우 50~90%를 젖산이 차지하게 되면 젖산 그 자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 1위벽을 통하여 직접 흡수된다.. 한우 TMR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0) - 반추위 영양소(지방) 대사 3) 반추위 지방대사 가) 반추위 미생물에 의한 지방 분해와 대사작용 반추위 미생물은 사료의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 및 기타 화합물로 매우 빠르고 폭넓게 분해시킨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지질은 80% 이상 분해되는 반면, 어유는 50% 이하만이 분해된다. 사료에 포함된 지질은 대부분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곰팡이의 경우 지질 분해 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반추동물의 사료에는 지방이 2~4%로 매우 적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사료에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제 1위 내 발효에 이상이 생기고 섬유소의 소화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추위 미생물의 세포막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산도 일부 포함되어 있어서 반 액상형태로 물.. 한우 TMR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9) - 반추위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대사 라. 반추위 영양소 대사 1) 반추위 탄수화물 대사 일반적으로 반추동물에 급여하는 사료 중 70~80%를 차지하는 탄수화물은 대부분 전분과 셀룰로스 형태로 존재하는 포도당 복합체이지만, 헤미셀룰로스와 펙틴도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이중 전분과 셀룰로스가 혐기적인 환경 하에서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포도당을 생성하며, 생성된 포도당은 최종적으로 피루베이트로 분해된다. 헤미셀룰로스와 펙틴의 경우 5탄당으로 분해된 다음 전분과 셀룰로스의 경우와 같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휘발성지방산 등을 생산한다. 휘발성지방산은 일반적으로 탄소의 수가 6개 이하인 것으로 휘발되는 특성을 가진 저급 지방산이며, 탄소의 수가 적을수록 휘발성이 높다. 반추위 내에서 사료의 발효과정 중에 생성되는 휘발성지방산에는 초산, 프로피.. 한우 TMR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8) - 반추 미생물의 분포와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반추위 내 미생물 분포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반추위 미생물의 분포는 무엇보다도 반추동물이 섭취하는 사료의 성분과 함량 및 분해특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반추동물이 농후사료를 위주로 섭취할 경우 가용성 탄수화물과 전분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되지만 조사료를 다량 섭취할 때는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수가 많아진다. 또한 제 1위 내 미생물 단백질 합성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질소를 공급해야 한다. 즉, 질소가 부족하면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반대로 질소 수준이 층분하지만 에너지가 부족해도 질소의 이용률이 낮아진다. 농후사료의 섭취와 관련된 것으로서 반추위액의 pH가 낮아지면 섬유소 및 단백질 분해 박테리아와 메탄 생성 박테리.. 한우 TMR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7) - 반추 미생물의 종류 1) 반추위 미생물의 영양적 가치 반추위 미생물의 질소(N) 함량은 8~12%(건물 기준)로 소에게 필요한 단백질의 40~90%를 공급한다. 반추위 미생물의 단백질 소화율은 70~90%에 이르며 박테리아보다 프로토조아의 소화율이 다소 높다. 또한 제 1위에서 합성되는 미생물 지방의 양이 하루에 0.1~0.2kg으로 소량이지만 미생물체지방을 공급하고 반추위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휘발성지방산으로 소에게 필요한 에너지의 70~80%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K 및 B군을 합성하여 공급한다. 2) 반추위 미생물의 종류 가) 박테리아 박테리아의 수는 반추위 내에는 사료급여 형태, 급여량, 급여시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반추위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형태와 크기, 세포막의 구조와 생물학적 기능 그리고 성장 .. 한우 TMR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6) - 반추미생물 다. 반추위 미생물의 중요성 반추위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혐기성 박테리아, 프로토조아 및 곰팡이가 공생하는데 적합한 환경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반추위 내 평균온도는 미생물의 성장과 활동에 적합한 39℃(38~41℃)로서 사료의 발효 과정 시 생기는 발효열에 의해 체온보다 다소 높은 상태를 항상 유지하고 있으며 산소가 없는 환원적 상태로 혐기성 미생물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한다. 반추위액의 pH는 대체로 6~7 정도지만 사료의 종류, 섭취량 및 섭취 후 경과시간 그리고 가공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반추위 pH는 주로 소화물에 농축된 유기산의 양과 저작시 생성된 타액 양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수용성 탄수화물이나 전분을 다량 급여하면 천천히 분해되는 탄수화물이나 섬유소를 급여한 것보다 더 낮은 반추위 pH를 가.. 한우 TMR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5) - 위의 구성과 기능 나. 위의 구성과 기능 한우의 영양생리에서 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위는 4개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의 부위를 제 1위(rumen), 제 2위(reticulum), 제3위(omasum) 그리고 제 4위(abomasum)라 부른다. 성우(큰 소)의 경우 위는 복부강의 75~80%를 차지하고 체적의 15~20%에 달할 만큼 크며, 내용물의 왕래가 자유로워 같은 기능을 하는 제 1위와 제 2위는 반추위라 부르며 복강의 왼쪽에 위치하고 제 3위와 제 4위는 복강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 1위, 제 2위 및 제 3위를 전위라하며 제 4위는 기능상 단위동물의 위와 비슷하여 진위라고도 한다. 한우의 위는 곡류나 동물성 사료보다는 풀을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형태로 발달되어.. 한우 TMR 2020.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