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59

성장기별 TMR 활용방법(1) - 섬유질 배합사료 1. 한우 섬유질배합사료 배합 원리 및 이용시 주의사항 가. 자가 섬유질배합사료 체계로 전환시 고려사항 농가에서 농산부산물 등 주변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사료원료를 이용하여 조사료와 함께 자가로 섬유질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이하 TMR로 표기)를 제조하여 한우에 급여하는 것이 반추위의 안정된 발효로 인한 생산성을 높이고, 한편으로는 사료비를 절감 할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아직 많은 농가에서는 농산부산물의 영양소 함량이나 한우의 성장기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 요구량에 대한 고려없이 부산물 사료를 섞어 먹임으로서 사료비 절감의 효과보다는 발육 부진이나 질병 발생으로 인하여 오히려 피해를 보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TMR 제조를 위해서는.. 2020. 5. 18.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9) - 보조사료 9. 보조사료 가. 보조사료의 특징 - 보조사료는 보충사료 혹은, 과학사료와 혼용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동물의 생명유지나 축산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사료이다. - 보조사료는 사료의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한 품질보호제, 비타민을 비롯한 미량영양소 보충제, 그리고 동물의 효용성 증대 및 사료품질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제로 나눌 수 있다. 나, 보조사료의 종류 1) 미생물제제(생균제) - 미생물제제에는 유산균제제(Probiotics), 효모배양물(Synbiotics) 및 곰팡이 발효물(Prebiotics)도 포함되는데, 생균제는 살아있는 천연의 미생물 공급원(DirectFed Microbials, DFM)'으로서 균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물을 의미한다. 생균제는 다음과 같은 작.. 2020. 5. 17.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8) - 광물질 사료 8. 광물질(무기물) 사료 가, 광물질사료의 일반적 특징 - 광물질은 골격의 주성분으로서 동물체 조성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종대사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광물질은 일반 사료나 음용수에 포함되어 있으나 동물의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공급이 필요하다.- 광물질은 서로간의 상호 교호작용, 공급원, 가공 처리방법, 급여량 및 가축의 종류등에 따라 분해, 흡수 및 이용성이 다르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료에 첨가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사료공정법에 의하면 식염류, 인산염류 및 칼슘염류와 같은 다량 광물질류와 구리 코발트와 같은 미량 광물질류로 분류하고 있다. 육우의 사료 중 광물질 사용 한계치는 칼슘 2%, 인 1%, 마그네슘 0.5%, 칼륨 3%, 나트륨 3.5(비유 1.6%), ..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7) - 조사료 7. 조사료 가. 조사료의 일반적 특징 - 조사료는 크게 두과와 화본과로 구분한다. 두과는 화본과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섬유소 함량이 낮다.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는 두과 작물로는 알팔파가 있으며 화본과 작물에는 오차드그라스, 톨페스큐 등이 있다. - 두과작물의 특징으로는 풍부한 조단백질 원이며 생초는 비타민 A가 많고 건초는 비타민 D의 함유량이 높다. - 화본과와 혼파하면 조단백질의 함량을 늘릴 수 있으며, 토지의 비옥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 화본과 작물은 어릴 때에는 조단백질 함량이 높으나 개화기 전후부터 급격히 조섬유비율이 높아지고 조단백질 함량은 떨어진다. - 두과작물에 비하여 단위면적당 수량이 많고 TDN 함량도 상당히 높다. 나, 조사료 종류별 특징 1) 볏짚(Rice s..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6) - 유지사료와 설탕제조 부산물 5. 유지사료 - 가죽의 유전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고효율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동물성유지로서 우지( Tallow), 돈지(Lard), 양지(Mution)등이 있고, 식물성유지로는 옥수수기름, 대두유, 채종유, 면실유 등이 있으나, 식물성유지는가격이 비싸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융점이 40도 이상인 것을 텔로우, 그 이하인것을 그리스라고 한다. - 유지시료를 가축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의 기능은 사료의 에너지 함량을 높이고, 먼지발생을 줄이며, 사료분쇄기와 배합기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펠릿닝이 용이하며, 기호성이 증진되고, 사료첨가제의 작은 입자를 균일하게 배합하고 안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료효율 개선, 필수 지방산 공급, 지용성 비타민(A, D, E.. 2020. 5. 15.
TMR 제조용 원료사료 및 첨가제(5) - 근괴사료 4. 근괴사료 뿌리부분을 사료로 이용하는 것으로 고구마, 감자, 타피오카, 순무, 사탕무 등이 있으며 전분질함량이 곡류와 비슷하고, 에너지가는 곡류의 중간정도로서 단백질의 함량과 질이 곡류보다 낮다. 가. 고구마 - 근채류로서는 건물 함량이 약 32%로서 높고, 가소화성분과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및 카로틴(Carotene) 함량은 높지만, 단백질, Ca 및 P의 함량은 낮다.- 고구마는 모든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는데 돼지에게는 옥수수의 70~80%까지 대체 할 경우, 경지방을 생산하여 육질개선에 효과가 있고, 반추가축에게는 옥수수의190~100%의 가치가 있다. 나. 타피오카(Tapioca) - 열대성 근괴작물로서 일명 카사바(Casava) 라고도 하며, 근괴가 사료로서 이용된다. 생것은 수분이 .. 2020. 5. 15.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