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47

한우 영양과 TMR 이해(3) - 문제점과 개선방안 3. TMR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 TMR의 문제점 한우 사양에서 TMR은 선택채식을 막아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균형 잡힌 사료섭취를 유도할 수 있지만, TMR을 이용하려면 시설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생산성이나 사료비 등의 분석을 통해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가에서 TMR 방식을 처음 도입하면서 TMR을 채택하는 것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심리 혹은 오해로 인해 오히려 관행사육에 비해 많은 문제를 겪게되는 경우가 있다. 한우에서 TMR 급여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사전에 해결해야 한 문제들이 있다. 다시 말해서 단순히 조사료와 몇 가지 원료들을 혼합해서 급여하는 방식만으로는 별다른 효과를 볼 수가 없게 된다. 최우선적으로 한우가 싸우지 않고 자유롭게 ..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2) - 장점과 단점 2.TMR 급여의 장.단점 가. TMR의 장점 -한우가 사료를 선택 채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한우는 언제나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구성비가 일정하고 각종영양소의 균형이 일정한 사료를 섭취함으로 인해 편식 발생에 따른 영양소 불균형이나 사료의 낭비를 예방 할 수 있고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한우가 섭취하는 건물섭취량을 정확히 알아 사료 급여량 관리가 용이하며, 사료효율을 높임으로써 사료비가 절감된다.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분리해서 급여하는 경우에는 농후사료의 변화에 따라 조사료의 섭취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본래의 TMR 사양은 자유채식 시스템이기 때문에 한우는 하루에 여러번 TMR을 나누어 섭취하게 되어 반추위 발효가 안정되고 대사성질병의 발생빈도와 소화장애의 빈도도..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1) - TMR 사료의 정의 섬유질배합사료 정의 및 분류 가. 섬유질배합사료의 정의 한우는 소화기관의 구조나 소화과정이 단위가축과는 확연하게 구별되는 초식동물로서 한우를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성장단계에 따라 일정 비율로 급여해야한다. 최근 하누우 사양 및 사료 생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조사료와 노후사료를 따로 급여 하는 방법보다는 이들을 혼합하여 함께 급여하는 섬유질배합사료 방식이 보편화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섬유질 배합사료는 우리말로하면 완전혼합사료 또는 완전배합사료라 할 수 있다. 즉 한우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농후사료, 조사료, 광물지, 비타미, 기타 사료첨가제를 배합해서 급여하는 형태를 말한다. 나. TMR(섬유질 배합사료)의 정의 최근까지도 TMR과 Semi TMR로 구분하여 TM.. 2020. 5. 13.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