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726 한우 영양과 TMR 이해(12) - TMR 시스템 5. TMR 시스템 도입을 위한 구비사항 TMR 시스템 도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농가의 TMR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고, 또한 TMR 도입을 위해서는 농가에서 구비되어있는 전체적인 여건(환경 및 사료조 등)이 TMR 시스템과 부합되는가? 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알고 있는 TMR은 사료로서 이해를 하고 있지만 실상 TMR은 사료로 이해하기 보다는 사양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TMR의 출발을 사료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양관리로서 이해를 하라는 것이다. 종종 농가에서 TMR을 잘못 이해하다보니 소들의 영양적 불균형 문제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가. TMR시스템 도입을 위한 원칙적 배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TMR을 사양관리로 이해하려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1) - 체내 영양소 대사 마. 반추가축의 체내 영양소 대사 1) 휘발성지방산의 체내 이용 반추위에서 생성된 휘발성지방산의 대부분은 반추위와 제 3위에서 흡수된다. 휘발성지방산의 75% 정도가 제 1위벽을 통하여 흡수되고 20%는 제 3위에서, 나머지 5%는 제 4위와 소장에서 흡수된다. 제 1위벽을 통한 흡수과정은 pH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반추위 pH가 낮은 상태일 때 휘발성지방산은 빨리 흡수하게 되고, 흡수되는 속도는 낙산이 가장 빠르며, 그 다음으로 프로피온산 및 초산의 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상시 젖산은 박테리아에 의하여 초산, 프로피온산 및 낙산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지나친 농후사료 급여로 제1위 내 총 산의 경우 50~90%를 젖산이 차지하게 되면 젖산 그 자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 1위벽을 통하여 직접 흡수된다..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10) - 반추위 영양소(지방) 대사 3) 반추위 지방대사 가) 반추위 미생물에 의한 지방 분해와 대사작용 반추위 미생물은 사료의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 및 기타 화합물로 매우 빠르고 폭넓게 분해시킨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지질은 80% 이상 분해되는 반면, 어유는 50% 이하만이 분해된다. 사료에 포함된 지질은 대부분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곰팡이의 경우 지질 분해 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반추동물의 사료에는 지방이 2~4%로 매우 적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사료에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제 1위 내 발효에 이상이 생기고 섬유소의 소화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추위 미생물의 세포막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산도 일부 포함되어 있어서 반 액상형태로 물.. 2020. 5. 14. 한우 영양과 TMR 이해(9) - 반추위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대사 라. 반추위 영양소 대사 1) 반추위 탄수화물 대사 일반적으로 반추동물에 급여하는 사료 중 70~80%를 차지하는 탄수화물은 대부분 전분과 셀룰로스 형태로 존재하는 포도당 복합체이지만, 헤미셀룰로스와 펙틴도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이중 전분과 셀룰로스가 혐기적인 환경 하에서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포도당을 생성하며, 생성된 포도당은 최종적으로 피루베이트로 분해된다. 헤미셀룰로스와 펙틴의 경우 5탄당으로 분해된 다음 전분과 셀룰로스의 경우와 같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휘발성지방산 등을 생산한다. 휘발성지방산은 일반적으로 탄소의 수가 6개 이하인 것으로 휘발되는 특성을 가진 저급 지방산이며, 탄소의 수가 적을수록 휘발성이 높다. 반추위 내에서 사료의 발효과정 중에 생성되는 휘발성지방산에는 초산, 프로피..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8) - 반추 미생물의 분포와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반추위 내 미생물 분포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반추위 미생물의 분포는 무엇보다도 반추동물이 섭취하는 사료의 성분과 함량 및 분해특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반추동물이 농후사료를 위주로 섭취할 경우 가용성 탄수화물과 전분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되지만 조사료를 다량 섭취할 때는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수가 많아진다. 또한 제 1위 내 미생물 단백질 합성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질소를 공급해야 한다. 즉, 질소가 부족하면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반대로 질소 수준이 층분하지만 에너지가 부족해도 질소의 이용률이 낮아진다. 농후사료의 섭취와 관련된 것으로서 반추위액의 pH가 낮아지면 섬유소 및 단백질 분해 박테리아와 메탄 생성 박테리.. 2020. 5. 13. 한우 영양과 TMR 이해(7) - 반추 미생물의 종류 1) 반추위 미생물의 영양적 가치 반추위 미생물의 질소(N) 함량은 8~12%(건물 기준)로 소에게 필요한 단백질의 40~90%를 공급한다. 반추위 미생물의 단백질 소화율은 70~90%에 이르며 박테리아보다 프로토조아의 소화율이 다소 높다. 또한 제 1위에서 합성되는 미생물 지방의 양이 하루에 0.1~0.2kg으로 소량이지만 미생물체지방을 공급하고 반추위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휘발성지방산으로 소에게 필요한 에너지의 70~80%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K 및 B군을 합성하여 공급한다. 2) 반추위 미생물의 종류 가) 박테리아 박테리아의 수는 반추위 내에는 사료급여 형태, 급여량, 급여시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반추위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형태와 크기, 세포막의 구조와 생물학적 기능 그리고 성장 .. 2020. 5. 13. 이전 1 ··· 617 618 619 620 621 다음